이후 많은 장애인 권리 단체가 총리에게 서한을 보내 용어만 바꾸는 것만으로는 장애인이 겪는 차별을 종식시킬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장애인이 국가의 경제, 사회, 정치 생활에 참여하는 것을 방해하는 장벽을 해결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 3부작 시리즈에서 IndiaSpend는 장애인(평등 기회, 권리 보호 및 완전 참여)법이 통과된 지 22년이 지난 지금 인도에서 장애를 가지고 사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특히 교육 및 취업 접근과 관련하여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봅니다.
이 시리즈의 첫 번째 부분은 교육을 살펴봅니다. 현재 시스템이 특수한 요구 사항이 있는 어린이가 다양한 교육 관련 프로그램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지 여부입니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한 명의 장애인 소년의 삶을 통해 “포용적 교육 모델”을 살펴볼 것입니다. 세 번째이자 마지막 부분에서는 뭄바이에서 동쪽으로 80km 떨어진 Vangani에 사는 시각 장애인 커뮤니티의 이야기를 통해 장애인의 취업 기회를 살펴볼 것입니다.
하나의 교육 정책으로는 다양한 특수 요구 사항에 맞지 않습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2011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도 장애인 인구의 45%가 문맹인인 반면, 전체 인도인의 26%가 문맹입니다. 교육을 받은 장애인의 59%가 10학년을 마쳤고, 일반 인구의 67%가 마쳤습니다.
6세에서 14세 사이의 모든 어린이에게 무상 의무 교육을 장려하는 Sarva Shiksha Abhiyan(모두를 위한 교육 운동)을 통해 교육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특수 교육이 필요한 어린이는 인도에서 가장 큰 학교 밖 그룹을 형성합니다. 2014년 학교 밖 어린이 전국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6세에서 13세 사이의 특수 교육이 필요한 어린이 약 600,000명(28%)이 학교에 다니지 않고 있으며, 이는 인도가 거의 보편적인 초등학교 등록을 실시하고 있는 시점입니다.
특수 교육을 필요로 하는 아동 중 두 가지 이상의 장애가 있는 아동의 44%가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있으며, 정신 장애(36%)와 언어 장애(35%)가 있는 아동은 다른 장애가 있는 아동보다 학교에 다니지 못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2014년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 보고서에 따르면 청각 장애, 정형외과/운동 장애, 시각 장애가 있는 어린이 중 학교에 다니는 비율은 더 높고, 학교에 가지 못하는 어린이는 20-30%에 불과합니다.
분명히, 정책은 장애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어린이를 위해 더욱 정교하게 조정되어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또한 물리적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 이상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Accessible India Campaign은 2018년 7월까지 국가 수도와 주 수도에 있는 모든 정부 건물의 50%를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더 큰 목표는 장애인을 위한 보편적 접근성, 개발의 평등한 기회, 독립적인 생활 및 삶의 모든 측면에서의 참여를 창출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현장에서 경험을 쌓은 사람들은 다른 현실에 대해 이야기합니다.